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고전시가) 3월 모의고사 대비 / 정철 관동별곡 이론

 

 

   정철 관동별곡은 작가가 45세 되던 해인 선조 13년(1580년) 득세한 시절에 지은 기행 가사입니다.  작가는 조선 선조 때 정치인지만 문인으로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정철 관동별곡을 비롯한 고전시가 작품들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나 국어 교과서에 빠지면 이상할 정도로 중요도가 높고 수능과 모의고사에서도 출제 빈도가 매우 높은 작품들이 많습니다. 

 

 

정선 금강전도

 

  그가 고향 창평에 은거해 있을 때 지은 사미인곡, 속미인곡도 필수 작품입니다. 선조는 그가 조정에서 신료들과 다툼이 자주 일어나서 잠시 그의 고향 창평으로 귀양 아닌 귀양을 보냈습니다. 그런데 3년 지나면 부른다고 하는 선조는 작가를 까마득히 잊었던지

부르지를 않았습니다. 그래서 임금께 올리는 고전시가 가사는 사미인곡이고 속편이 속미인곡입니다. 이후 선조는 그를 강원도 관찰사로 임명합니다.

 

 

 

형식적 특징

 

3월 모의고사 대비에서 필수로 알아 두어야 할 형식적 특징입니다.

 

1. 가사는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입니다.

2. 시조는 보통 3.4조 / 4.4조(4음보)의 율격이며 초장 중장 종장의 3장과

   각 장마다 2구씩 합하여 6구이며 글자 수는 45자 내외입니다.

   가사도 율조는 3.4 / 4.4(4음보)는 같으나 작품의 길이가 수필처럼 깁니다. 관동별곡의

   경우 295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가사로서 교술 갈래이면서 서정성과 서사의 성격을 갖추었습니다.

    교술이라는 의미는 실제 사물의 모습을 보이는 그대로 서술하거나 전달하는 갈래이며

    기행 수필이 여기에 해당하며 고전 문학에서는 악장, 경기체가, 가사가 교술 갈래에

    포함됩니다. 정철 관동별곡 고전시가에서 알아 두어야 할 필수 이론입니다.

 

 

 

 

표현의 특징

 

3월 모의고사 대비에 필요한 관동별곡 이론 표현의 특징입니다.

 

1.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구사한 작품으로 평가되어 가사 문학의 대표작입니다.

2. 수사법은 금강산의 절경에 대한 표현으로 영탄법이 주로 등장합니다.

    또 폭포나 산의 묘사 등에서는 대구법을 사용하였으며

    아름다운 장면을 표현할 때는 직유법과 은유법과 의인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배경 사상

 

1. 선조 임금에게 충성을 다짐하는 부분에서 유교적 충의사상

2. 회양 지방과 화룡소 그리도 마지막 부분에서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정신

3. 자신을 신선에 자주 비유하는 부분에서는 신선사상(도교사상)이 등장합니다.

  

갈등 구조와 해결

 

3월 모의고사 준비를 위한 이론 중에서 갈등에 관한 정리입니다.

 

1. a. 왕명을 수행하는 관리로서의 일정(왕정)이 유한하다는 공적인 시간 제약과

    b. 금강산과 해금강을 더 유람하고 싶다는 개인적 욕망에서

        위정자의 모습과 생각이 드러납니다.

    즉, 작가의 마음인 a의 공적 임무b의 개인적 욕망이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위정자의 모습이 표현됩니다.

 

 

 

2. 망양정에서 일망무제의 바다를 바라보면서 바다를 동경하고 인간의 한계성을

    느끼며 자연에 수응할 수 밖에 없는 인간 본연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갈등의 상태가 지속됨과 동시에  갈등의 해소 여건이 조성됩니다.

 

 

3. 파도는 현실에서의 갈등을 표현합니다. 공적 임무와 사적이 욕망의 현실적 한계

    속에서 자신의 갈등을 표현하는 데 '가뜩 노한 고래가 불거니 뿜거니 어지럽게

    구는지고' 라고 라고 표현했습니다.

 

4. 이러한 갈등은 신선이 산다는 곳으로 도피하는 마음을 갖지만 밤이 되면서

    파도가 잔잔해 지면서 작가도 마음의 안정을 찾아 목민관으로서의 자세를 회복합니다.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눠 꿈 속에서 현실에서 만날 수 없는 신선을 만나 대화하면서

    작가의 소망이 충족되면서 갈등이 해소됩니다.

 

 

 

다음 글부터는 작가가 관동지방 관찰사(도시사)로 임명을 받아 기뻐하며 떠나는 장면을 생략법을 사용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한 부분부터 공부합니다.

 

(고전시가) 3월 모의고사 대비 / 정철 관동별곡 이론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